본문 바로가기
Writing

[작가] 빠르게 글을 쓰는 방법 2 (음성 입력, 템플릿, 습관)

by 커넥트T 2025. 10. 20.

4. 음성 입력(Dictation)

글쓰기 속도를 높이는 또 다른 좋은 방법은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구글 독스(Google Docs)에도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당신이 말한 단어를 마이크로 인식해 화면에 텍스트로 변환해 줍니다. 그렇다면 음성 입력이 그렇게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이핑하는 것보다 말하는 속도가 훨씬 빠릅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게는 타이핑하는 대신 말로 글을 쓰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프로그램이 자신의 목소리를 제대로 인식하도록 훈련시킨 후에는 시간대비 타이핑 단어 수를 두 배 이상 늘리기도 합니다.

물론 음성 입력으로 작성된 텍스트는 대체로 많은 수정작업이 필요합니다. 인식 오류로 소프트웨어가 만들어내는 오류를 고치고, 문장 부호와 문법을 다듬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처음부터 글을 쓰는 것보다 수정이 훨씬 쉽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혼자 있을 때조차 큰 소리로 말하는 것이 어색해서 음성 입력보다 타이핑이 더 잘 맞기도 합니다. 당신이 그런 사람이라면 걱정하지 마세요. 연습을 통해 프로그램에 익숙해질 수도 있고, 그냥 계속 타이핑을 선택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당신은 절대 말하는 속도만큼 빠르게 타이핑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음성 입력을 배우는 것은 글쓰기 속도를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5. 템플릿(Templates)

글쓰기로 돈을 벌고 싶다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글을 얼마나 빨리 쓸 수 있느냐입니다. 글을 더 빨리 쓸수록 하루에 더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글쓰기 속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자주 쓰는 유형의 글에 맞는 템플릿을 만드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웹 콘텐츠용 기사나 블로그 글을 자주 쓴다면, 그 흐름을 잡아주는 기본 뼈대를 미리 만들어 두세요.

이 템플릿에는 세부 내용이 많이 들어가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글의 전체적인 흐름만 잡아주는 구조만으로도 충분히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매번 형식을 새로 고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제 시작 문장을 미리 만들어 두면 글을 시작하기 훨씬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 “_을(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 “_을(를) 배우는 가장 빠른 방법은 _이다.”
    와 같은 형태로 시작 문장을 미리 정리해 두는 것입니다.

또한 글의 주제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잘 아는 주제일수록 훨씬 빨리 쓸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낯선 주제일 경우에는 리서치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글쓰기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특정 주제에 전문성을 갖는 것(전문화) 이 유리합니다. 익숙한 주제는 품질도 높고 속도도 빠르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연습과 꾸준함은 글쓰기 속도 향상의 핵심입니다. 매일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면 시간이 지날수록 실력이 눈에 띄게 늘어납니다. 반대로, 글을 쓸 때마다 오랜 공백이 생기면 다시 감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즉, 꾸준히 글을 쓰세요. 설령 그 글이 어딘가에 게시되지 않더라도. 그렇게 하면 당신의 글쓰기 속도는 계속 향상될 것입니다.

6. 습관(Habit)

컴퓨터 앞에 앉아 타이핑하는 모습

글쓰기로 돈을 벌고 싶다면, 빠르고 효율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 필수입니다. 그 비결은 단 하나, 글쓰기를 습관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즉, 어떤 상황에서도 매일 글을 쓰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는 특별한 비밀이 없습니다. 의지력과 동기부여가 전부입니다. 매일 앉아서 글을 써야 합니다.

클라이언트의 프로젝트가 있다면 동기가 되겠지만, 일이 없을 때도 글을 써야 합니다. 개인적인 글, 연습용 글, 혹은 어디에도 쓰이지 않을 글이라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매일 쓰는 것입니다.

매년 11월에는 NaNoWriMo(National Novel Writing Month) 라는 국제 행사가 열렸습니다. 하지만 25년 3월, 행사를 주최하는 단체가 폐쇄되어 더이상 행사가 열리지는 않습니다. 이 행사는 한 달 동안 한 편의 소설(약 55,000단어, 하루 약 2,000단어)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행사의 핵심은 매일 꾸준히 글을 쓰다 보면 글쓰기가 점점 쉬워지고, 결국 습관이 된다는 점입니다.

이 원리를 글쓰기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매일 2,000단어까지 쓸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에 500단어짜리 글 한 편만 써도 좋습니다. 블로그에 올리거나, 기사 사이트에 제출하거나, 다른 블로거에게 게스트 포스트로 제공해도 됩니다. 핵심은 ‘매일 쓰는 것’입니다.

30일 이상 꾸준히 쓰면 글쓰기가 습관이 되어, 지금처럼 의지를 짜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글을 쓰게 됩니다. 스티븐 킹(Stephen King) 같은 베스트셀러 작가들도 이 원칙을 따릅니다. 그들이 특별히 더 잘 쓰는 것이 아니라, 단지 더 자주 쓰고 집중할 줄 알기 때문입니다.

글쓰기 루틴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팁:

  • 글을 쓸 시간과 장소를 정해두기
  • 자신이 좋아하는 도구를 사용하기
  • 음악이나 TV 등,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마련하기
반응형